작은 조직을 운영하자
일을 하다보면 조직의 규모가 점점 커지게 된다. 조직 뿐 아니라 이해 당사자가의 범위가 넓어져서 관리하고 신경써야할 것이 많아진다. 일의 성과를 위해 규모를 유지 ...
“숙의와 합의”의 조건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에 대한 공론화 과정에서 "숙의와 합의"가 떠오르고 있다. 그렇게 어렵지 않은 이야기이다. 이번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한 결정이 잘 된 것 ...
대화도 학습이 필요할까?
누구나 할 줄 아는 것이 대화이고 말하기이다. 그럼에도 대화에 대한 교육도 있고 대화법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며 책도 많이 나와 있다. 어쩌면 세상에서 책 ...
우리는 왜 대화를 해야 할까?
한때 개그 프로그램에 대화가 필요해라는 코너가 있었다. 사회가 발전하고 성숙해가면서 이해관계가 복잡해지고 환경이 다양해 지면서 한편으로는 대화하기 어려워지고 ...
사람 사이에서 살아가기
사람을 한자로 쓸 때 인간(人間) 이라고 씁니다. 간혹 비아냥 거릴 때 쓰기도 하지만 사람을 의미 그대로 한자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인간을 풀어보면 사람 사이라는 ...
공감네트워크 광주모임 후기
지난 5월 27일 1박2일로 열린 공감네트워크의 광주 모임에 참석했습니다. 평소에 진행되는 공감 대화를 구체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두달에 한번씩 지역을 돌아다니며 ...
직원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동기부여 방법
직원이 자기 몫을 다하고 갖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조직을 운영하는 많은 사람들의 공통된 고민이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