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은 우리의 경제 시스템에서 아주 중요하다. 특히, 기업은 생산성에 목을 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내외부의 영향으로 급격히 변하는 경제 상황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면 무슨 수라도 쓰려고 한다. 당연하다.
생산성은 단위기간당 투자되는 자원(자금, 인력, 에너지 등등) 대비 얻어지는 결과의 비율이다. 그렇기에 기업이 매출과 수익을 높이려고 애쓰는 것과 더불어 투입되는 자원은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잠시라도 한눈을 팔거나 쉴틈이 없는 것이다. 경쟁이 치열하면 더욱 그렇다.
기업이 이토록 생산성 향상에 모든 노력을 다한다면 개인은 어떠할까?
시대 상황이 점차로 끝없는 경쟁에 몰리다보니 아무리 워라밸을 주장하더라도 스스로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실제로 개인의 역량이 높아지고 효율적인 관리가 진행될 수록 기업의 생산성에 도움이 되기는 한다.
그렇지만 개인이 기업과 같은 생산성 향상에 매진하는 것이 올바른 것일까?
개인이 기업을 구성하기는 하지만 기업과 개인이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개인이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존재하기도 하고 기업이 개인의 행복을 위해서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느것이 우선일까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또한, 개인과 기업의 생산성에 대한 기준이 다르고 경쟁의 구조와 환경이 다르다.
사람의 삶은 속도와 수치의 경쟁 외에 다른 가치가 존재한다. 삶의 철학이 다르기 때문이다.
기업에 대한 평가는 나타난 무리적 결과로 평가하지만 개인은 살아가는 과정과 타인과의 관계, 스스로의 만족과 행복감 등의 정서적이며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요소들로 평가한다.
결국 개인에 대한 생산성의 정의를 달리해야 하는 것이다.
일을 잘하는 개인에 대해 생산성이 높다고 말하는 것은 업무능력이나 경제활동에 대한 결과를 말하는 것 뿐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속도와 삶의 방식이 있다. 좀 더 여유를 가지고 느리게 살아가는 사람이 생산성이 낮은 사람이 아니다.
사람들에게 개인의 목표를 정하고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반드시 성공과 행복을 보장하는 것처럼 몰아가는 것은 위험하다.
개인의 삶에서 생산성이라는 단어는 쓸모가 없다.
누구나 자신의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위한 자기만의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서 자기 삶을 살아가는 것 아닐까?
Add a Comment